청와대가 자질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국회 청문보고서조차 채택되지 않은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하고 황우여 의원을 새 교육부장관에 내정했다. 청와대는 “황 내정자가 국회 교육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사회현안에 대한 조정능력을 인정받아온 분”이라고 자평했다.

그러나 교육계는 보수․혁신 세력을 막론하고 새 교육부장관 지명에 대해 심히 걱정하는 분위기다. 한 보수적 교원단체는 “황 내정자가 국회 교육위원장 등의 경력을 갖고는 있지만 초중등학교나 대학현장 경험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화답하듯 전교조도 “황 후보자가 국회 교육상임위원회에서 활동은 했지만 교육 종사자가 아니기 때문에 전문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보수성향의 학부모단체 ‘공교육 살리기 시민연합’은 “특목고나 자사고에 대한 교육적 소신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교육을 잘 이끌어나갈지 의문”이라고 대놓고 꼬집자,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도 “지금 교육계에서는 자사고 등 학교 차별화 문제, 경쟁교육이 문제인데 이런 부분에서 교육정책을 잘 이끌어 나갈지 우려스럽다”고 맞장구쳤다.

이런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져 나오는 이유는 너무나 자명하다. 현재 교육계에는 초중고, 대학입시문제, 자사고, 진보교육감 문제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현안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산적한 교육과제들을 신속하고 후유증 없이 해결해낼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의 결여는 바로 교육행정가로서의 리더십에 치명적인 균열을 일으켜 문제가 문제를 더 키우는 악순환적 파국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적으로 파괴력 있는 사안만 보더라도 전교조 법외노조 문제에서 비롯한 전교조 및 시민단체와 정부와의 대결 양상, 진보 교육감들의 대거 진출이 불러일으킬 교육계 세력 판도 변화에 수반될 필연적 갈등들, 자사고 폐지를 둘러싼 서울시교육감과 자사고 교장들과의 대립, 일반고 정상화, 특목고 과열 경쟁, 교학사 교과서 파동 등 일일이 열거하자면 손가락이 모자랄 지경이다.

사람들은 흔히 ‘자식농사’란 말을 한다. 이 의미는 이 세상의 모든 농사를 합친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자식농사 즉 자식의 교육이란 뜻이다. 이번 세월호 참사만 하더라도 그렇다. 누가 봐도 인재다. 천재지변이나 전쟁 등 불가피한 상황에서 빚어진 참극이 아니라 따지고 보면 사람들이 못 배우고 못나서 빚어진 비극일 것이다.

그들은 날 때부터 못났기 때문이 아니라 잘못 길러진 점이 크다고 생각한다. 지금껏 구조를 담당한 해경 중에 사고 당시 자발적으로 구조에 나선 이가 있다는 소식은 듣지 못했다. 그들 해경 중 아무나 한 사람이 객실에 가서 ‘자 우리 모두 함께 나가자’고 외쳤다면 세월호 참사는 우리에게 지금까지도 이렇게 깊은 트라우마를 남기지는 않았을 것이다. 진정 자식농사가 잘못된 것이 아니었을까.

자식 농사법을 바꿀 필요가 있다면 그 임무를 맡은 주체 중의 중심인 사람이 바로 교육부장관일 것이다. 이 나라의 장래를 생각해 볼 때 요직 중의 요직이 아닐 수 없다.

그렇게 중요한 직책을 사회부총리와 겸직한다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고 본다. 그러나 당장에 이 직제를 바꿀 수 없다면 황우여 내정자 뿐만 아니라 혹 다른 누구라도 우리나라 교육행정 수장이 되려는 인물은 헌법에 보장된 ‘교육의 정치적 중립’ 노력을 기울여 힘닿는 만큼 교육부장관 업무에 힘써야 할 것이다.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교육 난제들을 풀어가는 해법은 여러 단체들이 지적하는 대로 ‘교육 전문성과 리더십’이란 키워드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 본인 스스로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전문가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를 종합하여 실천하면 된다. 그것이 지금 필요한 리더십일 것이다.

저작권자 © 땡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